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부 한선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by shineall 2025. 2. 7.
반응형

피부 한선염이란? 주요 원인과 발생 기전

피부 한선염(Apocrine Hidrosadenitis, Hidradenitis Suppurativa)은 땀샘(한선)에 염증이 발생하는 만성 피부 질환으로, 주로 겨드랑이, 서혜부(사타구니), 엉덩이, 가슴 아래 부위와 같이 피부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땀샘과 모낭이 막히고 염증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서 고름이 찬 종기 같은 병변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심한 경우 통증을 동반한 결절()이 형성되거나, 피부 아래로 염증이 퍼져 만성적인 흉터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원인은 한선(아포크린 땀샘)과 피지선의 기능 이상입니다. 피부에는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이라는 두 가지 땀샘이 존재하는데, 한선염은 주로 아포크린 땀샘(털과 연결된 땀샘)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이 땀샘이 막히면서 내부에 피지와 각질이 축적되고, 세균 감염이 일어나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땀이 많거나 피지 분비가 활발한 사람들에게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과 유전적 요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한선염은 호르몬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사춘기 이후에 발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나 임신, 폐경기 등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안드로겐(남성호르몬) 수치가 높은 경우 피지선과 땀샘의 과다 분비로 인해 염증 반응이 유발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가족 중 한선염을 앓았던 사람이 있을 경우 발병 확률이 30~40%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전적 요인이 관련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세 번째 원인은 면역계 이상과 세균 감염 한선염 환자의 피부에는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보이며 염증을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경우 피부 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미생물들이 염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한선염 환자의 경우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하되면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등의 세균 감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화농성 염증이 심해지고, 반복적인 염증 반응으로 피부 조직이 손상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피부 한선염의 주요 증상과 진행 과정

피부 한선염의 증상은 초기에는 단순한 붉은 여드름처럼 보이지만, 염증이 진행되면서 통증과 화농성 병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재발할 경우 피부 아래에 고름주머니(농양)가 생기고, 피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면서 영구적인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한선염은 일반적인 여드름과 달리 깊은 층에서 염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완전히 치료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은 단계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 때는 겨드랑이, 사타구니, 엉덩이, 가슴 아래 부위에 작은 붉은 돌기(염증성 결절)가 생깁니다. 통증이 경미하며, 여드름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 부위를 누르면 약간의 압통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음 진행 단계 때는 염증이 심해지면서 고름이 차는 종기 같은 병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병변이 반복적으로 생기면서 피부 아래에서 연결되는 터널(누공, Sinus Tract)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터널이 생기면 염증이 더 깊은 층으로 확산되어 만성적인 화농성 염증과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만성화 단계 때는 피부가 점점 두꺼워지고, 염증이 반복되면서 지속적인 고름 배출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흉터 조직이 형성되어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고, 피부 착색(검은 반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관절 부위의 피부가 굳어지면서 움직임이 불편해질 수도 있습니다

 

피부 한선염의 치료 방법과 예방 관리

피부 한선염의 치료는 염증 완화, 감염 예방, 재발 방지를 목표로 하며,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수술적 치료를 병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약물 치료 방법입니다.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클린다마이신) 사용으로 세균 감염을 억제하고 염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항염증 효과가 있는 스테로이드 주사나 국소 도포제(하이드로코르티손 연고)를 활용하여 붓기와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면역조절제(레티노이드, 메토트렉세이트) 사용으로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을 줄이는 치료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생활 습관 개선 방법입니다. 땀이 차지 않도록 느슨한 옷을 입고, 피부가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자극적인 세정제 사용을 피하고, 약산성 클렌저를 이용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세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중 조절을 통해 피부 접촉을 줄이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은 생리 기간 때 생리대 사용과 관리를 통해서 염증을 예방해야합니다. 다음은 수술적 치료인데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만성적인 경우, 고름주머니 제거술(절개 배농술)이나 레이저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심한 흉터 조직이 형성되었을 경우 피부 이식술이나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